분류 전체보기75 [잡지식] 강철을 두드리는 이유 영화나 드라마 등에서 철을 가공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요, 그 중 가장 인상적인 장면 중 하나가 이렇게 빨갛게 달아오른 철을 두드리는 장면인 것 같아요. 보통 보면 철 덩이를 화로에 넣어 아주 높은 온도로 가열한 뒤에 여러번 접으면서 두드리다가 어느 정도가 되면 또 두드리며 어느정도 모양을 잡아가죠. 그러다보니 왜 이렇게 두드리는지 궁금해졌습니다. 계속해서 두드리는 것을 보면 모양을 잡는 것 외에도 분명 필요한 과정일 것이고, 그 이유가 있을테니까요. 1. 단조 일단 두드려서 모양을 만들어 철을 가공하는 방법을 단조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 [전통 일간 이야기]의 [철의 가공(단조)]에 간략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내용에 의하면 단조는 대장간에서 철을 반 용융 상태로 달군 뒤 망치로 두드려 원하는 형태의.. 2020. 8. 13. [전기기사] 2015년 1회. 전기자기_11~20 11. 진공 중에 있는 반지름 a[m]인 도체구의 정전 용량[F]? 구도체의 전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Q=CV에서 C=Q/V 이므로, 12. 회로에서 단자 a-b간에 V의 전위차를 인가할 때 C1의 에너지는? C1의 에너지는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1에 걸리는 전압 V1을 구해야 합니다. C1과 C2는 병렬연결이기 때문에 같은 전압(V1)이 걸리게 되고, 이는 C0와는 직렬이기 때문에 전체 합성 용량에 대한 C1+C2 비의 역수만큼 전압이 걸리게 됩니다. 따라서 V1은, 그럼 전체 합성 용량을 구하면, 이를 위 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구하고자하는 C1의 에너지는, 로 구할 수 있습니다. 13. 무한장 직선도체가 있다. 이 도체로부터 수직으로 0.1[m] 떨어진 점의 자계의 세기가 18.. 2020. 8. 4. [전기기사] 2015년 1회. 전기자기_1~10 1. 무한장 선로에 균일하게 전하가 분포된 경우 선로로 부터 r [m] 떨어진 P점에서의 전계의 세기 E [V/m]는 얼마인가? (단, 선전하 밀도는 ρL [C/m]) 전계의 세기는 가우스 정리를 이용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P점은 무한장 선로로부터 r만큼 떨어져 있고, 선전하 밀도는 ρL이므로, 로 구할 수 있습니다. - 가우스 정리 가우스 정리는 어떤 폐곡면을 지나는 전속은 그 폐곡면에 둘러 싸여있는 전체 전하와 같음을 말합니다. 다음 그림과 같이 어떤 면을 통과하는 전력선이 있습니다. 먼저 이 면을 지나는 전력선의 수는 면의 면적, 면과 전기장의 각도에 의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기장과 면적의 내적값이죠. 그렇다면 미소 면적에 대한 미소 전력선수는 다음과 같이 쓸 수 있습.. 2020. 8. 4. [전력공학] 14-2. 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_부하의 특성과 전력 손실 1. 부하의 특성 부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는 것은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로 이들을 잘 이해해야 설비용량을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고 부하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수용률 어느 기간 동안 수용가의 최대 수요 전력과 그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용량의 합계의 비를 말합니다. 즉, 전체 부하 설비로 최대로 얼마나 전력을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부하 설비의 합계는 항상 최대 수요 전력보다 크기 때문에 수용률의 값은 1보다 작은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부등률 일반적으로 수용가 상호간이나 배전 변압기 상호간, 급전선 상호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에서 각개의 최대 부하는 같은 시각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최대 부하가 발생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부등률.. 2020. 7. 26. [전력공학] 14-1. 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_전압 강하와 전압 변동 1. 전압 강하율과 전압 변동률 1) 직류 선로의 전압 변동률 직류 선로의 전압 변동률과 전력 손실률은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 전압 번동률 - 전력 손실률 이를 이용해 직류 2선시과 3선식에서도 전압 강하를 구할 수 있습니다. (1) 직류 2선식 - 전압 강하 여기서 R이 전선 1선당 저항을 의미하기 때문에 2선식이므로 전압강하는 2IR이 됩니다. - 전압 강하율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지만 2선식이기 때문에 전압 강하를 위의 2IR을 적용해 주어야 합니다. (2) 직류 3선식 이런 직류 3선식의 선로가 있다면 불평형일 때와 평형 상태일 때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불평형이라면 OO'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고, 평형상태라면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상태에서 전압을.. 2020. 7. 22. [전력공학] 13. 이도와 애자, 배전방식 1. 이도(Dip) 이도는 전선의 지지점을 연결하는 수평선으로부터 밑으로 내려가 있는 길이를 말합니다. 철탑에 연결된 전선이 팽팽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당연히 문제가 생기겠죠? 그래서 적당히 여유를 두고 연결하게 됩니다. 여기서, D는 이도[m], W는 단위 길이당 전선의 중량[kg/m], S는 경간[m], T는 전선의 수평장력[kg]를 뜻합니다. 그리고 이도 D는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선의 길이는 철탑과 같은 지지물의 과의 간격보다 길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전선의 실제길이는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2. 애자 애자는 전선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연 지지체를 애자라고 합니다. 지나가다 전선로를 보면 이런 애자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2020. 7. 22. 이전 1 2 3 4 5 6 ···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