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75 [제어공학] 3. 자동제어계의 과도응답 자동제어계의 과도응답에서 말하는 응답이란 간단하게 지금까지 살펴보았던 출력시간함수 c(t)를 의미합니다. 이 응답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간단한 제어계를 살펴보겠습니다. 여기서 지난번에 살펴본 것 처럼 G(s)=C(s)/R(s)이므로, C(s)=R(s)G(s)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 식을 역 라플라스변환하게 되면, 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즉, 과도응답 c(t)를 구하기 위해선 입력 R(s)가 어떤 입력인지 알아야합니다. 따라서 기본적인 다음의 네 가지의 입력을 알아보고 각각의 입력에 대한 응답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입력의 종류 1) 계단 입력 여기서 u(t)를 연속시간 단위 계단 신호라고합니다. (2) 임펄스 입력 (3) 경사 입력 : 등속 입력이라고도 합니다. (4) 포물선 입력 : .. 2020. 1. 20. [제어공학] 2. 신호흐름선도 - 신호흐름선도 : 신호흐름선도는 블록선도보다도 신호의 흐름을 간략하게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1. 신호흐름선도의 구성 1) 마디(Node) : 신호흐름선도에서 신호의 변수를 표현하는 부분입니다. 2) 가지(Branch) : 신호의 전달특성 및 방향을 나타내는 부분입니다. 그럼 간단한 예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ex.1) 먼저 가장 간단한 블록선도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블록선도를 신호흐름선도로 표현하면 마디에는 변수를, 가지에는 전달함수를 써주어 간단하게 위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ex.2) 표준 Feed-back 제어계의 블록선도의 신호흐름선도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변수와 가산점, 인출점을 노드로 나타내고 신호 흐름을 가지로 연결하면 이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2020. 1. 17. [제어공학] 1. 블록선도 - 블록선도 : 블록선도는 자동 제어계 내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모양을 알기 쉽게 일정한 형식으로 그림을 그려 나타낸 선도입니다. 1. 블록선도의 구성 1) 전달요소 : 입력을 받아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요소입니다. 이렇게 G(s)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전달함수라고 이야기합니다. 2) 화살표 : 위 그림에서 신호의 흐름 방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가산점 : 어떤 신호가 가산되는 지점입니다. 4) 인출점 : 단위 피드백 제어계와 같은 형태에서 신호가 인출되는 지점입니다. 이렇게 블록선도의 구성 자체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그럼 전기계 기본요소에서 블록선도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전기계 기본요소의 블록선도 1) R 회로 기본적인 R 회로입니다. R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v(t)라 .. 2020. 1. 16. 이전 1 ···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