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력공학20

[전력공학] 10. 이상 전압 1. 이상전압 이상전압은 말 그대로 계통에서 정상 상태가 아닌, 원하지 않는 전압을 말합니다. 송전계통에서 나타나는 이런 이상전압은 계통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내부 이상 전압과 외부 원인으로 인한 외부 이상 전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내부 이상전압 내부 이상전압은 계통을 조작할 때나 고장이 발생했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송전선로의 개폐조작과 같은 계통 조작 시 과도현상으로 발생하는 이상전압은 투입 서지와 개방 서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투입할 때 보다 개방할 때, 부하가 있는 회로를 개방하는 것보다 무부하의 회로를 개방하는 쪽이 더 높은 이상전압을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상 전압이 가장 큰 경우는 무부하 송전 선로의 충전 전류를 차단하는 경우이며, 송전선 전압의 4.5에서 최대 6배까지.. 2020. 7. 17.
[전력공학] 9. 중성점 접지 방식 중성점 접지는 계통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고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 중 하나로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중성점을 접지하는 임피던스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비접지, 직접 접지, 저항 접지, 소호 리액터 접지 방식이 있으며, 이 중성점 접지의 목적과 각각의 접지 방식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중성점 접지 목적 먼저 중성점 접지에서 말하는 중성점은 다음의 위치를 말합니다. 이렇게 변압기 2차측의 중성점을 말하며 여기에 달리는 Zn인 접지 임피던스에 따라 접지 방식이 분류됩니다. 그리고 이런 중성점 접지의 목적은 크게 다음의 4가지가 있습니다. 1) 지락고장 시 건전상의 대지 전위상승을 억제하고 전선로 및 기기의 절연 레벨의 경감. 2) 뇌, 아크 지락, 기타에 의한 이상전압의 경감 및 발생을 억.. 2020. 7. 14.
[전력공학] 8. 유도 장해와 안정도 1. 유도 장해 유도 장해는 정전 유도, 전자 유도, 고조파 유도의 세 가지가 있으며, 각각이 발생하는 이유와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전 유도 장해 전력선과 통신선과의 상호 정전 용량과 영산전압에 의해 발생하는 유도 장해로 크게 두 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전력선을 3선 일괄한 경우 통신선과 유도 장해 그림과 같은 경우입니다. 전력선 a의 충전 전압을 E, 통신선 b의 대지 정전 용량을 Cb, ab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을 Cab라 했을 때, 통신선 b의 정전 유도 전압 Es는 오른쪽 그림에서 Cb에 걸리는 전압이 됩니다. 따라서 오른쪽 회로에 따라 정전 유도 전압을 구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 전압이 커지게 되면 통신선에 정전 유도 장해를 발생하게 됩니다. (2) 전력선의 .. 2020. 6. 29.
[전력공학] 7-3. 고장 계산_발전기 고장 계산 3. 발전기 고장 계산 발전기 고장에는 대표적으로 1선 지락, 2선 지락, 선간 단락, 3상 단락 고장이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본 대칭 좌표법에 의해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선 지락 고장 그림과 같이 a상에 지락이 발생한 경우 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먼저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선 b상과 c상의 전류를 대칭좌표법으로 보면, 이므로 Ib-Ic를 하면,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다시 이 값을 Ib 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I0=I1=I2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Ia에 대해 정리하면, 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발전기 기본식으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Va=0이고, I0=I1=I2이므.. 2020. 6. 27.
[전력공학] 7-2. 고장 계산_ 대칭 좌표법 2. 대칭좌표법에 의한 고장 계산 3상 단락 고장은 평형 고장이기 때문에 옴법이나 %임피던스 법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지만 1선 지락과 같은 불평형 고장에서는 대칭좌표법을 이용해 풀어야 합니다. 이 대칭좌표법은 불평형전압이나 불평형 전류를 3개의 성분인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고장인 3상 단락, 선간 단락, 1선 지락의 경우 고려해야할 대칭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장 종류 대칭분 3상 단락 정상분 선간 단락 정상분, 역상분 1선 지락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 1) 대칭분 불평형으로 나타나는 전압 또는 전류를 바로 해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고장 종류에 따라 크게 3가지인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의 평형한 대칭 성분으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대.. 2020. 6. 25.
[전력공학] 7-1. 고장 계산_ 단락 고장 송전선로에는 여러가지 이유로 지락 또는 단락 등의 다양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지락전류나 단락전류가 어느정도 흐를 것인지 계산할 수 있어야 고장을 대비할 수 있는 설비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고장계산을 통해 보통 차단기의 용량 결정이나 보호 계전기의 정정을 위해 활용하게 됩니다. 1. 단락 고장 단락 전류는 차단기의 용량 결정, 보호 계전기의 정정, 기기에 가해지는 전자력의 크기를 구하기 위해 계산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단락 고장은 3상 단락 고장으로 평형 고장이며 옴법, %임피던스법, PU법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그럼 각각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옴(Ω)법 우리가 회로 해석에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옴법을 이용해 고장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V=IR이므로 전.. 2020. 6.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