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본격적으로 왼손을 연습할 차례입니다. 기타와 피크를 준비하고 시작 전에 튜닝은 잘 되어 있는지 한 번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얼른 코드부터 쳐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같겠지만 아직 왼손으로 줄을 잡는 것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이번에 소개할 크로매틱 스케일이라는것을 이용해 왼손을 연습해야 합니다. 이 연습은 기타를 시작하게되면 계속해서 해야하고, 이 크로메틱 스케일을 꾸준히 연습해야 코드도 잘 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아직은 기타와 친해지는 단계라 생각하고 천천히 시작해 보도록 합시다.

 

1. 크로매틱 스케일(Chromatic Scale, 반음계)

  크로매틱 스케일은 한국어로 반음계를 의미합니다. 음계에 대해서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자면, 한 옥타브안에서 구성된 음들의 집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반음계라는 것은 기준 음으로부터 반음이 차이나는 모든 음들의 집합이 되는 것이죠.

 

  무슨 소린지 잘 모를 수 있지만 괜찮습니다. 음계에 대한 내용은 잠시 뒤에 다시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하고 일단 알아야 할 것은 우리가 지금부터 알아볼 왼손 연습방법은 '크로매틱 스케일을 이용해 연습하는 거다'라는 정도만 알고 넘어가셔도 좋습니다.

 

  그리고 왼손의 손가락에 각각 이렇게 번호를 매기도록 하겠습니다.

[검지 - 1번, 중지 - 2번, 약지 - 3번, 새끼 - 4번]

 

  그럼 3단계로 나눠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한 줄에서 연습하기

  이제 그럼 검지를 6번줄 5번 프렛 위에 살짝 올려보세요. 그리고 나머지 손가락들도 자연스럽게 올려봅시다. 위에서 바라보면 대충 이런식으로 자연스럽게요.

  그리고 편의를 위해 손가락 번호는 파란색으로, 프렛 번호는 빨간색으로 표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잡아보면 생각보다 불편할 겁니다. 처음엔 손목이 엄청 꺾이는 느낌이 들거든요. 그래도 손목을 더 틀어서 손가락에 여유가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그래야 엄지와 함께 힘이 실리면서 줄을 정확하고 강하게 집을 수 있습니다.

 

  엄지는 되도록이면 넥 중앙 쯤에 위치시키고 위 처럼 치고자 할 프렛들의 가운데 쯤 위치시키면 됩니다. 그리고 엄지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눕지 않고 수직으로 딱 잡으셔야 합니다. 이렇게 하려면 자연스럽게 손목이 더 돌아가게 되고, 손바닥과 넥 사이에 여유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제 자세가 조금 잡혔다면 6번줄 5번 프렛을 누르고 오른손의 피크로 6번줄을 튕겨봅시다. 음이 끊기지 않고 쭉 울릴 수 있도록 말이죠. 참고로 너무 프렛과 프렛 사이의 가운데를 누르려고 하지 않아도 됩니다. 어차피 소리는 프렛에 줄이 닿아야 날 수 있으니까요. 오히려 프렛 근처를 잡아주는 것이 힘도 덜 들일 수 있고 소리도 깔끔하게 낼 수 있습니다.

  5번 프렛을 연주하고자 하면 이쯤을 눌러주는게 가장 유리하겠죠. 너무 프렛 바로 위를 누르지 않을 정도로 위치를 잘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어서 중지인 2번 손가락으로 6번 프렛을 누르며 소리를 내보세요. 이때 나도 모르게 검지를 때버릴 수도 있는데, 소리가 울리는 영역은 프렛과 브릿지 사이이기 때문에 5번 프렛 위에 손가락이 얹어져 있어도 무방합니다. 그러니 먼저 잡고 있던 손가락은 자연스럽게 놓아두세요.

 

  이어서 약지로 7번 프렛을 잡고 소리를 내보고 새끼 손가락으로 8번 프렛을 잡고 소리를 내보세요. 조금 어렵죠? 소리도 생각보다 깔끔하게 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도 괜찮습니다. 소리를 잘 내기 위해하는 연습이니까요.

 

  이렇게 연주를 하시면 됩니다. 피킹은 그냥 잡고있는 줄을 아래로만 쳐도 괜찮습니다. 왼손이 조금만 더 익숙해지면 자연스럽게 위 아래로 치는 것도 해보셔도 좋구요. 천천히 한음 한음 소리가 예쁘게 날 수 있도록 반복해봅시다.

 

  이렇게 4개의 음을 쳤다면, 다시 크로매틱 스케일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하겠습니다. 기타는 프렛과 프렛사이가 반음이었습니다. 그러니 저렇게 차례대로 4개의 음은 반음씩 점점 높아지는 음들이죠. 이게 바로 크로매틱 스케일이라는 것입니다. 물론 아직은 일부만 연주했지만요.

 

 

  2) 여러 줄로 연습하기

  6번줄에서 손가락의 움직임이 익숙해졌다면 5번줄에서 다시 5 6 7 8번 프렛을 같은 방법으로 연주해보세요. 손목은 6번줄을 칠 때와 같은 위치에 고정하지 마시고 6번줄을 잡고 있을 때 넥과 손바닥의 여유만큼 생길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손목을 조금 빼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해서 4번줄, 3번줄, 2번줄, 1번줄까지 쭉 쳐봅시다. 이젠 갑자기 왼손은 알겠는데 오른손이 자꾸 이상한 줄을 치고 있을 수 있습니다. 오른손도 왼손이 잡고 있는 줄을 칠 수 있도록 위치를 잘 기억해 주세요.

 

  우선 이것을 계속해서 반복하며 각 줄을 칠 때 손목의 위치와 오른손이 정확한 줄을 칠 수 있는 위치에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따로따로 치는게 익숙해졌다면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가 봅시다.

 

  이제부터는 메트로놈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되긴하지만 있다면 사용하고 없다면 준비하느라고 또 흐름이 끊기니 없으면 없는대로 일단 진행해보세요.

 

  이제 6개의 줄에서 음을 이어지도록 연주해보세요. 6번줄에서 5 6 7 8번 프렛을 천천히 치고, 자연스럽게 5번줄로 넘어가 다시 5 6 7 8번의 프렛을, 쭉 이어서 1번줄까지요. 손목이 안쪽으로 자연스럽게 들어오면서 연주하셨다면 잘 하고 계신겁니다. 그렇지 않았다면 조금 더 손목의 위치와 꺾인 정도를 의식하면서 연주해보세요. 이어진 악보로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크로매틱 스케일>

  메트로놈을 왜 꺼내라했냐면 이렇게 음을 이어갈 것이기 때문에 느리더라도 정확한 박자로 연주하기 위함입니다. 다음에는 소리를 완벽하게 낼 수 있는 속도에서 6번줄부터 시작해 1번줄까지 내려가는 크로매틱 스케일을 연습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로 내려가는 것이 익숙해지셨다면 1번줄에서 시작해서 6번줄로 올라오는 것까지 연습하세요. 이렇게 반복하며 왼손에 힘이 생기게 하고 손목의 위치도 알아가면서 오른손도 각 줄의 위치가 어느정도인지 익숙해지셔야 합니다. 지금 이렇게 하는 것이 맞나싶은 생각이 들면 유투브에 크로매틱 스케일을 검색해 영상도 한번 찾아보는것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3) 손가락 분리하기

  이제 6번줄에서 아래로 내려가는 것도, 다시 올라는 것도 어느정도 익숙해졌다면 마지막으로 손가락 분리를 연습하시면 됩니다. 이쯤부터는 많이 익숙해졌으니 피킹도 아래로 시작해서 위아래로 반복하며 연습해보도록 합시다.

 

  똑같이 5번 프렛에서 시작하는 크로매틱 스케일을 연주할 것이지만 이번에는 줄을 이동할 때 손가락을 하나씩 이동하며 왼손의 네 손가락이 따로 움직이는 연습을 하겠습니다.

 

  먼저 6번줄에서 4개의 음을 치며 시작하는 것은 동일하지만 지금까지 5번줄로 넘어가기 위해 네 손가락이 모두 움직였다면, 이번에는 6번줄에 네 손가락이 위치하고 있을 때 검지 하나만 5번줄로 내려가서 5번 프렛을 잡는 것입니다. 그럼 검지만 5번줄 5번 프렛을 잡고있고, 나머지 손가락은 6번줄 위에 있겠죠?

  이런 식으로 따로 움직이는 것입니다. 이 방법으로 하게되면 아마 다른 손가락들이 5번줄에 닿아있어서 검지와 중지로 운지하는 음은 소리가 잘 안날 수도 있지만 괜찮습니다. 이 단계에서 연습하는 것은 손가락을 따로 움직이는 연습을 하는 것이기 때문이죠.

 

  그럼 다음으로 중지만 5번줄로 이동시켜봅시다.

   이런 식으로 각각의 손가락을 하나씩만 움직여서 줄을 이동하며 크로매틱 스케일을 연주하는 것입니다. 아래로 내려가며 1번줄까지 연주하고, 다시 올라오며 6번줄까지 연주하며 연습해보도록 합시다.

 

 

  이렇게 크로매틱 스케일을 이용해서 왼손을 연습하시면 됩니다. 물론 오른손도 자연스럽게 피킹을 연습하게 되구요. 처음엔 메트로놈 없이 하셨더라도 다음번 연습할 때는 어플이나 인터넷에도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메트로놈이 많으니 박자에 맞춰 연습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단순히 박자를 알기 위함이 아니라 박자에 맞춰 연습을 해야 오른손과 왼손의 타이밍도 알맞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 점점 속도를 늘려가며 자신이 어느정도 속도의 음악을 연주할 수 있는지도 알 수 있구요.

 

  크로매틱 스케일을 이용한 연습은 굉장히 지루합니다. 반복적이고, 음악이라고 하기엔 어렵기 때문이죠. 그런데 이 연습을 열심히 하는게 기타를 빨리 배울 수 있고,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입니다. 그러니 빨리 배우고 싶다면 이 크로매틱 스케일을 더더욱 많이 연습해서 왼손이 지판위에 더 자연스럽게 있을 수 있도록 해야합니다.

 

  * 참고_다양한 크로매틱 스케일의 연습방법

  크로매틱 스케일을 이용한 연습은 정말 다양하게 할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저렇게 1 2 3 4번 손가락을 순차적으로 연습하지만 이게 익숙해지신 분들은 이제 손가락 순서를 바꿔서 연습해보시기 바랍니다.

 

  1 2 3 4 다음엔 1 2 4 3 , 1 3 2 4 , 1 3 4 2 , 1 4 2 3 , 1 4 3 2 이런 식으로요. 이렇게 손가락을 움직이는 순서가 총 24가지가 나오겠죠? 매일매일 이 24가지 방법을 전부하긴 어려우니 오늘은 1 2 3 4로 크로매틱을 연습하며 손을 풀었다면 다음번엔 1 2 4 3 으로 해보고 이런 식으로 바꿔가면서 연습하는 것도 많은 도움이 됩니다.

 

  또, 무조건 5번 프렛에서 시작하면서 연습해야 되는지 의문을 가지실 수 있습니다. 어느 프렛에서 연습하셔도 무방합니다. 5번부터 시작한 이유는 처음 연습 할때 1번 프렛에서 시작하면 생각보다 프렛 간격이 넓어서 조금 어렵기 때문입니다. 5 6 7 8번 프렛이 익숙해지셨다면 다양한 위치에서 연습해보시기 바랍니다.

 

 

2. 음계(Scale)

  크로매틱 스케일을 알게 되었으니 간략하게 음계에 대해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음계는 위에서 본 것처럼 어떤 음들의 집합을 말합니다. 이게 무슨 이야기냐하면, 가령 ㅁ음계라고 하면 ㅁ음을 기준으로 형성된 어떤 음들의 집합이라는 것입니다.

 

  혹시 학창시절 음악시간에 이야기를 듣던 다 장조, 라 단조 등의 장조와 단조가 기억이 나시나요? 이 것이 바로 음계를 의미합니다. 장조는 장음계를, 단조는 단음계를 의미하는 것이죠. 그리고 장음계는 영어로 메이저 스케일(Major Scale), 단음계는 마이너 스케일(Minor Scale)이라고 말합니다.

 

  이런 메이저나 마이너 스케일과 같은 스케일(음계)은 반음의 위치가 어디에 있는지에 따라 다양하게 있습니다. 위에서 우리가 살펴본 크로매틱 스케일처럼 온통 반음으로만 구성된 음계처럼 정말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 대표적이고 가장 익숙한 두 스케일인 메이저 스케일과 마이너 스케일을 간단하게 살펴보겠습니다.

 

  1) 메이저 스케일(Major Scale, 장음계)

  일단 음계를 이야기 하려면 기준음이 있어야 합니다. 맨 첫번째 음으로 으뜸음(Key note)이라고 불리는 음입니다. 이 음을 기준으로 구성된 음들의 집합이 바로 음계가 되는 것이죠.

 

  메이저 스케일은 8개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고 으뜸음을 기준으로 3번과 4번음 그리고 7번과 8번음이 반음이며 나머지는 모두 온음(한음)으로 구성된 음계입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유심히 보셨다면 알 수 있는데요, 바로 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로 구성된 음계가 바로 메이저 스케일, 장음계입니다. 그리고 기준이 도(C)였으니 C D E F G A B C로 구성된 음계는 C 메이저 스케일이라고 말하면 되는 것이죠.

 

  그럼 D 메이저 스케일은 어떻게 구성되었는지 생각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으뜸음은 D이고, 3번과 4번음, 7번과 8번음 사이가 반음이고 나머지는 모두 온음으로 구성된 8개의 음을 찾아보면 됩니다.

 

  두 번째음은 그럼 D로부터 온음이 되어야하니 E가 되겠죠?

  다음으로 3번음은 2번음으로부터 온음이 차이가 나므로 F#/Gb이 됩니다.

  메이저 스케일에서 3번음과 4번음은 반음이 차이가 났습니다. 그럼 4번음은 F#/Gb에서 반음 높은 G가 되겠네요.

  다음 5번음은 G로부터 온음 차이가 나는 A, 6번음은 A에서 온음 차이가 나는 B, 7번음은 6번음과 온음 차이가 나는 C#/Db이 되겠네요.

  그리고 마지막으로 8번음은 7번음과 반음 떨어져 있으므로, C#/Db에서 반음 떨어진 D가 됩니다.

  이렇게해서 D 메이저 스케일은 D - E - F#/Gb - G - A - B - C#/Db - D 의 8개의 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메이저 스케일은 3-4와 7-8이 서로 반음이라는 사실만 기억하면 어떤 음을 으뜸음으로 삼았느냐에 따라서 해당하는 메이저 스케일을 찾아낼 수 있습니다.

 

  2) 마이너 스케일(Minor Scale, 단음계)

  마이너 스케일은 2번과 3번음, 5번과 6번음이 반음이고 나머지들은 온음으로 구성된 음계입니다. 그럼 대표적인 마이너 스케일인 A 마이너 스케일을 살펴보겠습니다.

 

  A 마이너 스케일은 으뜸음이 A이고, 두번째 음은 온음 차이니 B가 됩니다. 다음 3번음은 2번음과 반음 차이니 B에서 반음 차이가나는 C가 되겠죠. 4번음은 C에서 온음 차이나는 D, 5번음은 D에서 온음 차이가 나는 E가 되겠구요. 6번음은 5번음과 반음 차이니 F가, 7번음은 6번음 F에서 온음 차이인 G, 8번음은 7번음 G에서 온음 차이인 A가 됩니다.

 

  따라서 A 마이너 스케일은 A - B - C - D - E - F - G - A로 구성된 음계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니 C 마이너 스케일이 아니라 A 마이너 스케일을 살펴보았는지 아시겠죠? 바로 C 메이저 스케일과 A 마이너 스케일은 이렇게 같은 음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으뜸음과 반음의 위치가 다른 '나란한 조(Relative Key)'의 관계에 있습니다.

 

  아니 같은 음을 사용하는 음계면 둘이 같은 거 아닌가? 하는 의문을 가질 수 있지만 둘은 메이저 스케일(장음계)과 마이너 스케일(단음계)에서 알 수 있는 반음의 위치가 다르고 으뜸음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음의 구성은 같더라도 C 메이저 스케일로 만든 노래와 A 마이너 스케일로 만든 노래는 분위기가 서로 다르죠. 이건 이후에 다시 다뤄보도록하고, 지금은 이렇게 메이저와 마이너 스케일에는 같은 음으로 구성되었지만 으뜸음과 반음의 위치가 다른 나란한 조가 있다는 것만 알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그럼 한번 C 마이너 스케일은 어떤 음들로 구성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마이너 스케일이니 반음은 2번과 3번음, 5번과 6번음 사이고 나머지는 온음으로 구성되었고, C 마이너 스케일이니 으뜸음이 C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위의 건반의 도움을 받아 찾아보겠습니다.

<C 마이너 스케일>

  이렇게 C - D - D#/Eb - F - G - G#/Ab - A#/Bb - C가 되겠네요. 이런 식으로 마이너 스케일도 어떤 으뜸음이 오더라도 모두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럼 A 메이저 스케일이라던지, 더 복잡하게 Bb 마이너 스케일이라던지 그런 스케일들을 만났을 때 이 모든 음들을 외우고 알아야 하는지에 대한 걱정이 생기실 수 있습니다. 만약 피아노를 배우기 위해선 어쩔 수 없이 외워야 겠지요. 그러나 우리는 기타를 연주할 것입니다. 정말 다행스럽게도 기타는 그러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이후 다시 다뤄보겠지만, 기타에선 어떤 스케일이 어떤 음이 기준인지, 메이저 스케일의 3-4와 7-8에 반음이 있는 것 처럼 으뜸음을 기준으로 음의 구성이 어떤지만 알면 훨씬 수월하게 스케일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C 마이너 스케일이라하면 그냥 C가 으뜸음(1번음)이고 이후 2 3 4 5 6 7 8번 음들이 있을텐데, 이 중에서 2-3과 6-7이 반음이고 나머지는 온음이다, 여기까지만 확실하게 이해하시면 괜찮습니다. 오히려 도 레 미 파... , C D E F ... 이런식으로 외우는 것보다 이렇게 숫자로 이해하는게 더 중요하다고도 말할정도니까요.

 

  아무튼 복잡하게 설명했는데 메이저 스케일은 3-4번 음과 7-8번 음이 서로 반음이고 나머지 음들은 서로 온음이다, 마이너 스케일은 2-3번 음과 5-6번 음이 서로 반음이고 나머지는 음들은 서로 온음이다, 그리고 메이저 스케일의 대표는 C 메이저 스케일, 마이너 스케일은 A 마이너 스케일이라는 것만 기억하면 됩니다.

 

  만약 메이저 스케일과 마이너 스케일의 어디가 반음이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더라도 C 메이저 스케일은 C D E F G A B C 이니까 반음의 위치를 떠올릴 수 있을 것입니다. 마이너 스케일 역시 A 마이너 스케일은 A B C D E F G A로 구성되어 있으니까 이를 통해서도 반음의 위치를 떠올릴 수 있겠죠. #이나 b이 없기 때문에 더 쉽게 외울 수 있습니다.

 

 

  아직 스스로에게 음계니 스케일이니 반음이, 온음이 어쩌고 하는 것은 조금 이르다 느껴지시면 과감히 지나치셔도 괜찮습니다. 직접 연주하며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는 부분이니 그냥 관심이 있다면 한번 슥 읽어보고 이해가 된다면 넘어가시면 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에선 개방현을 이용한 코드들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