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전력공학19 [전력공학] 14-2. 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_부하의 특성과 전력 손실 1. 부하의 특성 부하 특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는 것은 크게 세가지가 있습니다. 수용률, 부등률, 부하율로 이들을 잘 이해해야 설비용량을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고 부하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수용률 어느 기간 동안 수용가의 최대 수요 전력과 그 수용가에 설치되어 있는 설비 용량의 합계의 비를 말합니다. 즉, 전체 부하 설비로 최대로 얼마나 전력을 사용하는지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부하 설비의 합계는 항상 최대 수요 전력보다 크기 때문에 수용률의 값은 1보다 작은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2) 부등률 일반적으로 수용가 상호간이나 배전 변압기 상호간, 급전선 상호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에서 각개의 최대 부하는 같은 시각에 일어나지 않습니다. 최대 부하가 발생하는 시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부등률.. 2020. 7. 26. [전력공학] 14-1. 배전 선로의 전기적 특성_전압 강하와 전압 변동 1. 전압 강하율과 전압 변동률 1) 직류 선로의 전압 변동률 직류 선로의 전압 변동률과 전력 손실률은 다음의 식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 전압 번동률 - 전력 손실률 이를 이용해 직류 2선시과 3선식에서도 전압 강하를 구할 수 있습니다. (1) 직류 2선식 - 전압 강하 여기서 R이 전선 1선당 저항을 의미하기 때문에 2선식이므로 전압강하는 2IR이 됩니다. - 전압 강하율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지만 2선식이기 때문에 전압 강하를 위의 2IR을 적용해 주어야 합니다. (2) 직류 3선식 이런 직류 3선식의 선로가 있다면 불평형일 때와 평형 상태일 때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불평형이라면 OO'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될 것이고, 평형상태라면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따라서 각각의 상태에서 전압을.. 2020. 7. 22. [전력공학] 13. 이도와 애자, 배전방식 1. 이도(Dip) 이도는 전선의 지지점을 연결하는 수평선으로부터 밑으로 내려가 있는 길이를 말합니다. 철탑에 연결된 전선이 팽팽하게 연결되어 있으면 당연히 문제가 생기겠죠? 그래서 적당히 여유를 두고 연결하게 됩니다. 여기서, D는 이도[m], W는 단위 길이당 전선의 중량[kg/m], S는 경간[m], T는 전선의 수평장력[kg]를 뜻합니다. 그리고 이도 D는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선의 길이는 철탑과 같은 지지물의 과의 간격보다 길어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전선의 실제길이는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2. 애자 애자는 전선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고 전기적으로 절연하기 위해 사용하는 절연 지지체를 애자라고 합니다. 지나가다 전선로를 보면 이런 애자를 쉽게 볼 수 있습니다.. 2020. 7. 22. [전력공학] 12. 계전기와 변성기 1. 보호 계전기 1) 보호 계전 시스템 보호 계전 시스템은 전력 계통의 전기적인 운전 상태를 계기용 변압기(PT), 계기용 변류기(CT)를 통해서 보호 계전기에 입력해 보호 대상이 이상이 있음을 검출한 경우 차단기의 트립 코일(TC)을 여자하여 차단기를 개방함으로써 고장구간을 차단하는 시스템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형태로 시스템을 구성하며 빨간색 테두리의 부분을 보호 계전 시스템이라고 말합니다. 2) 보호 계전기의 구비 조건 보호 계전기는 고장을 감지하는 만큼 계통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구비 조건을 지켜야 합니다. - 고장 상태를 식별하여 정도를 파악할 수 있을 것. - 고장 개소를 정확히 선택할 수 있을 것. - 동작이 예민하고 오동작이 없을 것. - 적절한 후비 .. 2020. 7. 21. [전력공학] 11. 차단기와 단로기, 퓨즈 1. 차단기(CB, Circuit Breaker) 차단기는 부하전류와 고장 시에 발생하는 대전류를 빠르고 안전하게 차단하여 고장구간을 건전구간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설비의 점검 및 수리 등의 작업 시에 작업 장소를 정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장비입니다.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차단기는 우리가 보통 두꺼비집이라고 부르는 장치가 바로 차단기의 한 종류입니다.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양한 차단기가 있는데, 이번 포스팅에선 소호 원리에 따른 차단기의 종류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소호 원리에 따른 차단기의 종류 (1) 유입 차단기(OCB) 말 그대로 기름을 이용해 소호하는 차단기입니다. 소호실에서 아크에 의한 절연유 분해 가스의 흡부력을 이용해 차단합니다. 기름을 사용하기 때문에 보수가 번거롭지만 방음설비가.. 2020. 7. 21. [전력공학] 10. 이상 전압 1. 이상전압 이상전압은 말 그대로 계통에서 정상 상태가 아닌, 원하지 않는 전압을 말합니다. 송전계통에서 나타나는 이런 이상전압은 계통 내부로부터 발생하는 내부 이상 전압과 외부 원인으로 인한 외부 이상 전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내부 이상전압 내부 이상전압은 계통을 조작할 때나 고장이 발생했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송전선로의 개폐조작과 같은 계통 조작 시 과도현상으로 발생하는 이상전압은 투입 서지와 개방 서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투입할 때 보다 개방할 때, 부하가 있는 회로를 개방하는 것보다 무부하의 회로를 개방하는 쪽이 더 높은 이상전압을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상 전압이 가장 큰 경우는 무부하 송전 선로의 충전 전류를 차단하는 경우이며, 송전선 전압의 4.5에서 최대 6배까지.. 2020. 7. 17.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