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선도2 [전기기사] 2015년 1회. 제어공학_61~70 61. 다음 중 f(t)=e^(-at)의 z 변환은? - 기본적인 라플라스 변환과 z변환 1 1 62. 다음은 시스템의 블록선도이다. 이 시스템이 안정한 시스템이 되기 위한 K의 범위는? 시스템의 안정도를 판별하기 위해선 먼저 특성방정식을 구해야 합니다. 위 블록선도에서 특성방정식을 구하면,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k값의 범위를 구하기 위해 루스표를 적용하면, 여기서 제 1열의 부호 변화가 없어야 하므로, 66-(6+k)>0, 6-k>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kk이므로 둘을 합하면, -6 2020. 9. 22. [제어공학] 1. 블록선도 - 블록선도 : 블록선도는 자동 제어계 내에서 신호가 전달되는 모양을 알기 쉽게 일정한 형식으로 그림을 그려 나타낸 선도입니다. 1. 블록선도의 구성 1) 전달요소 : 입력을 받아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요소입니다. 이렇게 G(s)의 형태로 표현되는 것을 전달함수라고 이야기합니다. 2) 화살표 : 위 그림에서 신호의 흐름 방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가산점 : 어떤 신호가 가산되는 지점입니다. 4) 인출점 : 단위 피드백 제어계와 같은 형태에서 신호가 인출되는 지점입니다. 이렇게 블록선도의 구성 자체는 굉장히 간단합니다. 그럼 전기계 기본요소에서 블록선도는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전기계 기본요소의 블록선도 1) R 회로 기본적인 R 회로입니다. R 양단에 걸리는 전압을 v(t)라 .. 2020. 1. 1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