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좌표법2 [전력공학] 7-3. 고장 계산_발전기 고장 계산 3. 발전기 고장 계산 발전기 고장에는 대표적으로 1선 지락, 2선 지락, 선간 단락, 3상 단락 고장이 있습니다. 각각의 경우 이전 포스팅에서 살펴본 대칭 좌표법에 의해 어떻게 계산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1선 지락 고장 그림과 같이 a상에 지락이 발생한 경우 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먼저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우선 b상과 c상의 전류를 대칭좌표법으로 보면, 이므로 Ib-Ic를 하면, 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다시 이 값을 Ib 식에 대입하면, 따라서 I0=I1=I2라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Ia에 대해 정리하면, 라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발전기 기본식으로부터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식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 Va=0이고, I0=I1=I2이므.. 2020. 6. 27. [전력공학] 7-2. 고장 계산_ 대칭 좌표법 2. 대칭좌표법에 의한 고장 계산 3상 단락 고장은 평형 고장이기 때문에 옴법이나 %임피던스 법으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지만 1선 지락과 같은 불평형 고장에서는 대칭좌표법을 이용해 풀어야 합니다. 이 대칭좌표법은 불평형전압이나 불평형 전류를 3개의 성분인 영상분, 정상분, 역상분으로 나누어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일반적인 고장인 3상 단락, 선간 단락, 1선 지락의 경우 고려해야할 대칭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고장 종류 대칭분 3상 단락 정상분 선간 단락 정상분, 역상분 1선 지락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 1) 대칭분 불평형으로 나타나는 전압 또는 전류를 바로 해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를 고장 종류에 따라 크게 3가지인 정상분, 역상분, 영상분의 평형한 대칭 성분으로 나누어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들을 대.. 2020. 6. 25.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