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의 영향1 [전력공학] 3-2. 선로 정수 및 코로나 앞선 포스팅에서 선로정수 중 인덕턴스에 대한 내용에 복도체가 있었습니다. 짧게 설명했지만 이번엔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복도체 복도체는 1상당 연결된 도체의 수가 둘 이상인 것을 말합니다. 복도체를 사용하게 되면 전선의 등가 반지름이 증가하게 되어 인덕턴스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전용량은 증가하여 안정도를 증가시키고, 코로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송전탑의 전선을 따로 전선 피복이 없기 때문에 복도체를 쓰겠다고 그냥 묶어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스페이서를 이용해 도체간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해 전선 상호간의 접근과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오른쪽의 스페이서를 보면 위에서부터 복도체, 6도체, 4도체에 사용되는 스페이서입니다. 또 왼.. 2020. 6. 3. 이전 1 다음